인천 상륙작전, 한국전쟁의 전세를 뒤바꾼 결정적 승부수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6·25 전쟁)은 개전 초기 대한민국에 절망적인 상황을 안겨주었습니다. 단 3일 만에 수도 서울이 함락되고, 한 달도 되지 않아 국군은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리게 됩니다. 당시 대부분의 국제 전문가들은 남한의 패배를 예상했고, 유엔군의 개입조차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1950년 9월 15일,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단행된 인천 상륙작전은 전세를 단숨에 뒤바꾼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인천 상륙작전과 맥아더 인천 상륙작전은 1950년 9월 15일,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주도 아래 감행된 대규모 상륙작전입니다. 당시 유엔군과 대한민국 국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마지막 보루로 삼아 겨우 버티고 있었습니다. 만약 낙동강 방어선마저 무너지면 부산까지 점령당해 한반도 전체가 적의 수중에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맥아더 장군은 예상 밖의 지역, 바로 인천을 선택하여 기습적인 상륙작전을 계획하였습니다. 인천은 조수 간만의 차가 심하고, 간조 시에는 넓은 갯벌이 드러나고, 해안이 좁아 상륙작전이 어렵다고 평가되던 지역이었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북한군이 방어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기회의 지점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인천은 서울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어, 작전 성공 시 정치적, 군사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서울 탈환을 통해 남한 국민의 사기를 높이고, 북한군의 동요를 유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절망 속에서 준비된 작전 당시 유엔군 총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는 전쟁의 흐름을 뒤집기 위한 대규모 상륙작전을 고안했고, 그 위치로 인천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인천은 천혜의 항구이자 수도 서울과 가까운 요충지였던 만큼, 동시에 상륙작전이 불가능한 장소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약 8m의 극심한 조수 간만의 차가 있었으며, 해안선은 좁고 복잡했으며, 간조 시에는 넓은 갯벌이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은 아이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