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두정의 내전, 로마 제국의 혼란을 불러온 권력의 분립
3세기 말, 로마 제국은 그 어느 때보다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 빠져 있었습니다. 외적의 침입, 내부 반란, 경제 위기 등 수많은 위기가 동시에 터지면서 제국은 존망의 기로에 서 있었습니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등장한 인물이 바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입니다. 티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한 새로운 정치 제도로 사두정을 도입하였고, 이 제도는 처음에는 효과를 발휘하는 듯했지만, 결국 사두정 내전이라는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사두정의 탄생,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 3세기 중엽, 로마 제국은 정치적 혼란, 경제 위기, 외세의 침입이라는 ‘3세기 위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황제가 자주 교체되고, 지방은 반란과 외적의 침공에 시달렸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84년에 즉위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강력한 중앙집권과 행정 개편을 통해 제국을 안정시키고자 하였습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한 명의 황제가 방대한 제국을 통치하기에는 무리라는 판단하에 293년, 사두정이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를 도입합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과 막시미아누스를 각각 동방과 서방의 정제로 세우고,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를 부제로 임명하여 제국을 네 명의 황제가 통치하는 체제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체제는 초기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거두었지만, 황제들의 이해관계와 계승 문제로 인해 결국 내전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사두정의 균열, 은퇴와 죽음이 부른 후계 갈등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마시미아누스가 자발적으로 퇴위함으로써 부제들이 정제로 승격되었고, 새로운 부제들이 임명되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 다음 세대에서 터지기 시작했습니다. 306년, 서로마의 정제였던 콘스탄티우스가 요크에서 사망하자, 아들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군인들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즉위하게 됩니다. 이는 기존의 사두정 질서를 어기는 행위였습니다. 더구나 막시미아누스의 아들인 막센티우스도 로마에서 스스로 황제로 선언하며 또 다른 혼란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동시에 동로마의 정제...